이베이 쟁탈전… 네이버, 신세계와 손잡을까

입력
수정2021.06.01. 오후 7:49
기사원문
김수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인수땐 점유율 30%대 급상승

쿠팡 견제 · 주도권 장악 가능

온라인 유통공룡 탄생 기대감

본입찰 7일 예정… 결과 촉각


이베이코리아를 차지하기 위한 유통업계 초대형 합종연횡이 예고되고 있다. 업계 초미의 관심사는 인수전 흥행카드로 부상한 네이버와 신세계그룹 이마트 간 연합전선 형성 여부다.

이베이코리아 인수에 공격적으로 나선 롯데의 카카오 동맹설, 홈플러스를 보유한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와 SK텔레콤 컨소시엄 구성설도 회자된다. 이 가운데 신세계·네이버 연합전선이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베이코리아 본입찰이 오는 7일로 예정됨에 따라,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유통공룡의 탄생이 임박하고 있다.

이베이코리아는 국내 e커머스 시장의 12%를 차지 중인 시장 점유율 3위 e커머스 사업자다. 예비입찰 참여사인 롯데지주, 신세계 이마트, SK텔레콤, MBK파트너스 중 이 기업을 손에 넣는 기업은 단숨에 온라인 유통 시장 장악력을 키우게 된다.

예비입찰 참여사들이 '예상 매각가 5조원은 너무 높다'고 혀를 내두르면서도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서 발을 빼지 않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수전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는 "이베이코리아를 남이 갖게 두기에는 너무 큰 매물"이라면서 "남이 가져야 한다면, 적정가보다 비싸게 가져가서 승자의 저주에 걸리게라도 해야 한다는 게 참여업체들이 드러내지 못하고 있는 속내"라고 말했다.

특히 네이버-신세계 연합이 이베이코리아를 차지하게 될 경우, 전체 거래액 규모가 50조원(연간 거래액 기준)에 달하는 e커머스 공룡이 나오게 된다. 업계 추산 지난해 거래액을 보면 네이버쇼핑이 28조원, 이베이코리아가 18조원, SSG닷컴은 3조9000억 원으로 3사 단순 합산 시 49조9000억원이 된다.

업계에서는 공룡 e커머스 탄생을 불러올 이 합종연횡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온라인 유통사업 확장에 사활을 건 신세계, 쿠팡 견제가 필요한 네이버 간 이해관계가 맞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18.6%의 점유율을 차지 중인 네이버로서는 시장의 12.4%를 점유하는 이베이코리아를 품으면 30%대의 점유율로 쿠팡(13.7%)과의 격차를 확실히 벌려놓을 수 있다. 또한 신세계 입장에서는 온라인 유통시장 주도권을 빠르게 장악하기 위한 강력한 무기를 손에 넣게 되는 셈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미 양사는 지난 1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강희석 이마트 대표,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만난 자리에서 협력안 아이디어 제안 차원에서 '좋은 매물에 대한 M&A 공동 추진'에 대한 이야기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당시에는 이베이코리아가 매물로 나오기 전이어서 양사가 3월 2500억원 규모 지분교환 계획과 함께 발표한 4개 분야 협력안으로 구체화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그 정도 협약을 했으면 언제든 좋은 물건이 있으면 (M&A를) 같이 할 수 있는 것 아니겠나"고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위한 네이버와의 협력 가능성을 에둘러 암시했다.

이러한 가운데, 롯데·카카오, SKT·MBK 동맹설 현실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각 사가 현재 대외적으로는 하나같이 컨소시엄 구성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막판에 어떻게 될 지는 모른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최근 롯데가 카카오에 이베이코리아 공동 인수를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카카오 동맹이 형성돼 이베이코리아를 사들이게 되면 (작년 거래액 기준) 롯데온의 7조6000억원, 카카오의 3조원(카카오톡 선물하기), 이베이코리아의 18조원을 합치면 29조에 육박하는 온·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대형 유통기업이 탄생하게 된다.

연간 거래액 약 10조원의 11번가를 운영하는 SKT와 매출 7조3000억원의 홈플러스를 보유한 MBK파트너스 간 컨소시엄 구성설도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SKT는 탈통신 전략이 절실하고, MBK는 올초 홈플러스의 오픈마켓 진출 선언 이후 가시적 성과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근접한다는 분석이다.

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 네이버 메인에서 디지털타임스 구독 ] / ▶[ 뉴스스탠드 구독 ]
▶디지털타임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